공지

행사[참여신청] 2023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연구 논문 발표회

<한국여성주의상담실천연구소 & 여성인권실현을위한전국가정폭력상담소연대>

 

2023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연구 논문 발표회

 

230526_논문발표회-002.jpg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의 현실을 드러내고 여성폭력근절을 위한 법·제도·정책 변화를 위해 대안을 모색하는

여성주의 연구 논문을 찾아 함께 공부하고 이야기 나눠보는 논문발표회에 여러분 모두를 초대합니다.

 

이번 논문발표회에서는 20222월에 발표된 고은정 사회복지연구활동가의 박사학위 논문을 통해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을 탐구하고, 안정적인 주거로의 이동과 정착을 어렵게 하는 사회구조적인 맥락을 살피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주거권 확보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함께 고민해 볼 예정입니다.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권에 관심 있으신 많은 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일시 | 2023526() 오후 2-4

장소 | (ZOOM) (줌 링크 행사 전 이메일 발송, 논문 행사 당일 줌 채팅방 링크 공유)

신청 | https://bit.ly/42XtMsW

주최 | 한국여성의전화 부설 한국여성주의상담실천연구소, 여성인권실현을위한전국가정폭력상담소연대

 

제목 |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에 관한 연구

발표 | 고은정 사회복지연구활동가

: 2022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정책론 전공 박사학위 논문

 

논문 소개 |

 

본 연구는 가정폭력 상황에서 가해자는 남고, 피해자가 주거를 상실하는 경험을 이해하고자,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을 탐구하였다. 선행연구들이 주거 문제를 자립의 하위요소로 다루거나 제도적 장소를 기준으로 분절적으로 접근하였다면, 이 논문은 피해 이후의 주거 이동 과정을 여성의 삶을 중심으로 연대기적으로 수집하고, 기본적인 권리로서 주거권의 문제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중략)

본 연구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탈출부터 독립적인 거주지로 이어지는 주거 이동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주거는 폭력에서 벗어나는 전과정에서 중요한 문제임을 보여주고, 안정적인 주거로의 이동과 정착을 어렵게 만드는 사회 구조적인 맥락을 드러냈다. 둘째,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경험의 주체로서 여성의 목소리를 담아 구체적인 경험을 가시화하고, 그에 기반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피해 이후 안정적인 주거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 고은정 사회복지연구활동가의 논문 개요 내용 중 발췌 -

 

* 문의: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 counsel@hotline.or.kr

 

 

230526_논문발표회-00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