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행사2023 한국여성의전화 온라인 세미나 -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개념화 및 대응 체계 모색

 

2023 한국여성의전화 온라인 세미나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개념화 및 대응 체계 모색



■ 일시: 2023년 12월 5일(화) 19시
■ 진행 방법: 온라인 생중계(zoom)
■ 참여 신청: https://forms.gle/sfMaDZuQ7xc9cXXeA
■ 발제: 김효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1.17일에 한 명의 여성이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해 살해당하거나, 살해당할 위험에 처해 있는 한국
✔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의 개념과 관계의 범위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
✔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에 관한 국가적 대응 체계는 어떤 방향으로 만들어져야 하는가?

 

● 폭력 유형에 따라 나뉘어지는 여성폭력, 삭제되는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의 맥락

한국에서는 여성폭력이 가정폭력·성폭력·데이트폭력·스토킹 등 폭력 유형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이는 젠더를 기반하여 중첩적으로, 주로 전·현 남편, 전·현 애인 등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해 발생하는 여성폭력의 맥락을 삭제합니다. 이 때문에 폭력 문제 해결에 있어 법·제도적으로 가해자 처벌과 피해자 보호에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해외에서는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근절을 위해 관련 법·제도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미 관련 법이 제정된 국가들도 있습니다.

 

● 한국 사회의 배경에서 모색하는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개념화와 대응 체계의 방향

한국여성의전화는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통계 분석 및 발표, 국제 세미나, 토론회 등의 개최를 통해 관련 정책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의 개념화와 대응 방향을 모색하고, 관련 법·제도의 개선 방향을 깊이 있게 논의하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주최 : 한국여성의전화

■ 문의 :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 (02-3156-5463, counsel@hotlin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