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가정폭력 · 성폭력상담소 상담통계분석
1. 2016년 가정폭력 · 성폭력 상담 현황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여성의전화 가정폭력·성폭력상담소의 전체 상담건수는 총 2,924건이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약 630건 가량 늘어난 수치이다. 이중 재상담 817건을 제외한 2,107건이 초기상담이었고, 초기상담을 중심으로 상담통계를 분석하였다. 초기상담 2,107건 중 성폭력상담이 1,153건(54.7%)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가정폭력상담으로 562건(26.7%)이었고, 가족문제 73건(3.3%)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상담 208건(9.9%)은 직장 내 성차별. 사법기관 대응문제, 건강 및 정신적인 문제 등에 대해 상담한 사례들이다.
<표1. 2016년 상담유형별 현황>
|
가정
폭력
|
성폭력
|
이혼
|
부부
갈등
|
성상담
|
가족
문제
|
중독
|
성매매
|
기타
|
합계
|
건수
|
562
|
1,153
|
35
|
23
|
43
|
73
|
4
|
6
|
208
|
2,107
|
비율
|
26.7
|
54.7
|
1.7
|
1.1
|
2.0
|
3.5
|
0.2
|
0.3
|
9.9
|
100.0
|
2. 가정폭력
전체 가정폭력상담 중 피해자·가해자 관계를 살펴보면 현재배우자와 과거배우자를 합쳐 447건(79.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친부모 60건(10.6%), 형제·자매 19건(3.3%), 자녀 11건(1.9%) 순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가정폭력은 전/현 배우자의 의한 폭력이 월등히 많았으며, 피해자 성별이 여성 447명(99.5%), 남성이 2명(0.5%)으로 나타나 거의 모든 사례가 아내 폭력 사건이었다. 한편, 작년에 비해 친부모에 의한 가정폭력이 38건에서 60건으로 늘었고, 형제·자매에 의한 폭력도 10건에서 19건이 늘었다.
<표2. 2016년 가정폭력 피해자 · 가해자 관계>
|
배우자
|
과거
배우자
|
친부모
|
시부모
|
의양
부
|
자녀
|
형제
자매
|
4촌이내 혈족
|
미파악
|
합계
|
건수
|
432
|
15
|
60
|
6
|
6
|
11
|
19
|
3
|
6
|
562
|
비율
|
76.9
|
2.7
|
10.7
|
1.1
|
1.1
|
1.9
|
3.3
|
0.5
|
1.1
|
100
|
<표3>을 통해 가정폭력 전체 상담 562건 중 주요 피해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폭언, 멸시, 욕설, 협박, 잠 못 자게하기 등에 해당하는 정서적 폭력은 460건으로 가정폭력피해자 중 81.9%가 정서적 폭력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손발로 구타, 목 조름, 흉기로 위협 등의 신체적 폭력은 381건(67.8%), 생활비를 주지 않거나 통제, 경제력 없다고 멸시 등의 경제적 폭력도 165건(29.4%)으로 나타났다. 폭력의 의한 피해 내용은 우울감, 불안감 등 심리적 피해는 326건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상해․ 질병 등의 신체적 피해가 78건으로 나타났다.
<표3. 2016년 가정폭력 주요 피해 유형별 현황(중복응답)>
|
신체적 폭력
|
성적폭력
|
정서적폭력
|
경제적폭력
|
건수
|
381
|
69
|
460
|
165
|
비율
|
67.8
|
12.3
|
81.9
|
29.4
|
<표4. 2016년 가정폭력 피해 내용(중복응답)>
|
신체적 피해¹
|
심리적 피해²
|
사회적 피해 ³
|
건수
|
78
|
326
|
42
|
¹ 신체적 피해 : 사망, 상해, 질병, 장애, 임신, 유산 등
² 심리적 피해 : 우울감, 무기력, 불안감, 모욕감, 자존감상실, 공포, 두려움 등
³ 사회적 피해 : 대인관계의 어려움 단절, 학교 직장 등 생활의 어려움 중단 등
3. 성폭력
<표5>을 통해 성폭력 피해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성추행이 278건(24.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강간 166건(14.4%), 성적모욕·비하 112건(9.7%)으로 나타났다.
<표5. 2016년 성폭력 주요 피해 유형별 현황>
|
강간
|
유사강간
|
성추행
|
카메라등 이용촬영
|
통신매체이용음란
|
성적목적을 위한 공공장소침입행위
|
성적모욕·비난·의심
|
성관계강요
|
변태적성행위
|
미파악
|
기타
|
합계
|
건수
|
166
|
27
|
278
|
88
|
27
|
2
|
112
|
97
|
16
|
16
|
324
|
1,153
|
비율
|
14.4
|
2.3
|
24.1
|
7.6
|
2.3
|
0.2
|
9.7
|
8.5
|
1.4
|
1.4
|
28.1
|
100
|
성폭력 피해 연령은 20대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30대, 40대이다. 그러나 10대와 50대에서도 꽤 높게 나타나 성폭력 피해는 전 연령대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6. 2016년 성폭력 피해 성별 및 연령별 현황>
성별
|
7세 미만
|
7-12세
|
13세~
19세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미파악
|
합계
|
여
|
4
|
4
|
49
|
282
|
162
|
92
|
44
|
8
|
494
|
1,139
|
남
|
0
|
0
|
0
|
1
|
1
|
0
|
0
|
0
|
12
|
14
|
총계
|
4
|
4
|
49
|
283
|
163
|
92
|
44
|
8
|
506
|
1,153
|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애인, 직장관계자, 동네사람, 지인, 친인척, 동급생, 선후배 등 아는 사람이 990건으로 전체 85.8%를 차지했고, 모르는 사람 30건(2.6%), 미파악 42건(3.7%)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아는 사람인 경우 애인/과거애인이 536건(4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관계자가 197건(17.1%)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동네사람, 이웃 또는 가까운 지인 65건(5.6%), 서비스제공자 55건(4.8%) 순으로 나타났다.
<표7. 2016년 성폭력 피해자 · 가해자 관계>
|
(전)
배우자
|
친
(양)부
|
친인척
|
(전)애인
|
직장
관계자
|
동급생·선후배
|
채팅 상대자
|
동네사람지인
|
종교인
|
서비스제공자
|
단순
대면인
|
모르는사람
|
미파악
|
기타
|
합계
|
건수
|
8
|
21
|
44
|
536
|
197
|
36
|
20
|
65
|
8
|
55
|
31
|
30
|
42
|
60
|
1,153
|
비율
|
0.7
|
1.8
|
3.8
|
46.5
|
17.1
|
3.1
|
1.7
|
5.6
|
0.7
|
4.8
|
2.7
|
2.6
|
3.7
|
5.2
|
100
|
4. 데이트 폭력
전체 상담건수 2,107건 중 애인/과거애인, 소개팅 등 데이트 관계에서 폭력이 발생한 건수는 536건(25.4%)이었고, 피해 성별은 여성이 527명(98.3%), 남성은 9명(1.7%)이었다. <표9>를 통해 연령별 현황을 살펴보면, 20대가 26.3%로 가장 높았고, 30대 16.4%, 40대 8.0%, 50대 4.4% 순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 걸쳐 데이트 폭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9. 데이트 폭력 연령별 현황>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미파악
|
합계
|
12
|
141
|
88
|
43
|
23
|
2
|
227
|
536
|
2.2
|
26.3
|
16.4
|
8.0
|
4.3
|
0.4
|
42.4
|
100
|
<표10>은 데이트 관계에서 발생한 폭력 피해유형을 분석한 것으로 피해자의 79.3%(425건)가 폭언, 욕설, 통제 고립 등 정서적 폭력을 겪었으며, 신체적 폭력도 270건(50.4%)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적 폭력이 207건(38.6%), 지불강요(데이트 비용 청구 등), 갈취 등 경제적 폭력은 70건(13.1%)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데이트폭력이 언어적 · 정서적 · 신체적 · 성적 폭력이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10. 데이트 폭력 피해 유형(중복응답)>
|
신체적 폭력
|
성적폭력
|
정서적폭력
|
경제적폭력
|
건수
|
270
|
207
|
425
|
70
|
%
|
50.4
|
38.6
|
79.3
|
13.1
|
데이트 관계 내 폭력 피해 내용은 폭력유형과 연관되어 심리적 피해가 70.7%로 가장 많이 나왔고, 다음으로는 신체적 피해가 18.5%로 나왔다. 그리고 학교‧직장 등 생활의 어려움이 동반되는 사회적 피해도 신체적 피해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데이트 관계의 특성상 가해자와의 관계유지기간이 길어질수록 관계의 밀도, 즉 상호의존성이 높아지고, 이러한 관계 안에서 복합적인 형태로 발생하는 폭력은 피해자의 일상에 깊이 침투하여 심각한 피해를 남기게 된다.
<표11. 데이트 관계 내 폭력 피해 내용(중복응답)>
|
신체적 피해¹
|
심리적 피해²
|
사회적 피해 ³
|
건수
|
99
|
379
|
71
|
비율
|
18.5
|
70.7
|
13.2
|
¹ 신체적 피해 : 사망, 상해, 질병, 장애, 임신, 유산 등
² 심리적 피해 : 우울감, 무기력, 불안감, 모욕감, 자존감상실, 공포, 두려움 등
³ 사회적 피해 : 대인관계의 어려움 단절, 학교 직장 등 생활의 어려움 중단 등
5. 스토킹
전체 2,107건 중 스토킹 상담은 252건(12.1%)이었다. 스토킹 피해 성별은 여성이 246명(97.6%)이고, 남성은 6명(2.4%)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54명, 30대 39명, 40대 32명, 50대 10명, 10대 7명 순으로 전 연령대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12. 스토킹 피해 성별 및 나이>
성별
|
13세-19세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미파악
|
합계
|
여
|
7
|
54
|
38
|
32
|
10
|
2016년 가정폭력 · 성폭력상담소 상담통계분석
1. 2016년 가정폭력 · 성폭력 상담 현황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여성의전화 가정폭력·성폭력상담소의 전체 상담건수는 총 2,924건이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약 630건 가량 늘어난 수치이다. 이중 재상담 817건을 제외한 2,107건이 초기상담이었고, 초기상담을 중심으로 상담통계를 분석하였다. 초기상담 2,107건 중 성폭력상담이 1,153건(54.7%)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가정폭력상담으로 562건(26.7%)이었고, 가족문제 73건(3.3%)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상담 208건(9.9%)은 직장 내 성차별. 사법기관 대응문제, 건강 및 정신적인 문제 등에 대해 상담한 사례들이다.
<표1. 2016년 상담유형별 현황>
가정
폭력
성폭력
이혼
부부
갈등
성상담
가족
문제
중독
성매매
기타
합계
건수
562
1,153
35
23
43
73
4
6
208
2,107
비율
26.7
54.7
1.7
1.1
2.0
3.5
0.2
0.3
9.9
100.0
2. 가정폭력
전체 가정폭력상담 중 피해자·가해자 관계를 살펴보면 현재배우자와 과거배우자를 합쳐 447건(79.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친부모 60건(10.6%), 형제·자매 19건(3.3%), 자녀 11건(1.9%) 순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가정폭력은 전/현 배우자의 의한 폭력이 월등히 많았으며, 피해자 성별이 여성 447명(99.5%), 남성이 2명(0.5%)으로 나타나 거의 모든 사례가 아내 폭력 사건이었다. 한편, 작년에 비해 친부모에 의한 가정폭력이 38건에서 60건으로 늘었고, 형제·자매에 의한 폭력도 10건에서 19건이 늘었다.
<표2. 2016년 가정폭력 피해자 · 가해자 관계>
배우자
과거
배우자
친부모
시부모
의양
부
자녀
형제
자매
4촌이내 혈족
미파악
합계
건수
432
15
60
6
6
11
19
3
6
562
비율
76.9
2.7
10.7
1.1
1.1
1.9
3.3
0.5
1.1
100
<표3>을 통해 가정폭력 전체 상담 562건 중 주요 피해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폭언, 멸시, 욕설, 협박, 잠 못 자게하기 등에 해당하는 정서적 폭력은 460건으로 가정폭력피해자 중 81.9%가 정서적 폭력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손발로 구타, 목 조름, 흉기로 위협 등의 신체적 폭력은 381건(67.8%), 생활비를 주지 않거나 통제, 경제력 없다고 멸시 등의 경제적 폭력도 165건(29.4%)으로 나타났다. 폭력의 의한 피해 내용은 우울감, 불안감 등 심리적 피해는 326건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상해․ 질병 등의 신체적 피해가 78건으로 나타났다.
<표3. 2016년 가정폭력 주요 피해 유형별 현황(중복응답)>
신체적 폭력
성적폭력
정서적폭력
경제적폭력
건수
381
69
460
165
비율
67.8
12.3
81.9
29.4
<표4. 2016년 가정폭력 피해 내용(중복응답)>
신체적 피해¹
심리적 피해²
사회적 피해 ³
건수
78
326
42
¹ 신체적 피해 : 사망, 상해, 질병, 장애, 임신, 유산 등
² 심리적 피해 : 우울감, 무기력, 불안감, 모욕감, 자존감상실, 공포, 두려움 등
³ 사회적 피해 : 대인관계의 어려움 단절, 학교 직장 등 생활의 어려움 중단 등
3. 성폭력
<표5>을 통해 성폭력 피해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성추행이 278건(24.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강간 166건(14.4%), 성적모욕·비하 112건(9.7%)으로 나타났다.
<표5. 2016년 성폭력 주요 피해 유형별 현황>
강간
유사강간
성추행
카메라등 이용촬영
통신매체이용음란
성적목적을 위한 공공장소침입행위
성적모욕·비난·의심
성관계강요
변태적성행위
미파악
기타
합계
건수
166
27
278
88
27
2
112
97
16
16
324
1,153
비율
14.4
2.3
24.1
7.6
2.3
0.2
9.7
8.5
1.4
1.4
28.1
100
성폭력 피해 연령은 20대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30대, 40대이다. 그러나 10대와 50대에서도 꽤 높게 나타나 성폭력 피해는 전 연령대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6. 2016년 성폭력 피해 성별 및 연령별 현황>
성별
7세 미만
7-12세
13세~
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미파악
합계
여
4
4
49
282
162
92
44
8
494
1,139
남
0
0
0
1
1
0
0
0
12
14
총계
4
4
49
283
163
92
44
8
506
1,153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애인, 직장관계자, 동네사람, 지인, 친인척, 동급생, 선후배 등 아는 사람이 990건으로 전체 85.8%를 차지했고, 모르는 사람 30건(2.6%), 미파악 42건(3.7%)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아는 사람인 경우 애인/과거애인이 536건(4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관계자가 197건(17.1%)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동네사람, 이웃 또는 가까운 지인 65건(5.6%), 서비스제공자 55건(4.8%) 순으로 나타났다.
<표7. 2016년 성폭력 피해자 · 가해자 관계>
(전)
배우자
친
(양)부
친인척
(전)애인
직장
관계자
동급생·선후배
채팅 상대자
동네사람지인
종교인
서비스제공자
단순
대면인
모르는사람
미파악
기타
합계
건수
8
21
44
536
197
36
20
65
8
55
31
30
42
60
1,153
비율
0.7
1.8
3.8
46.5
17.1
3.1
1.7
5.6
0.7
4.8
2.7
2.6
3.7
5.2
100
4. 데이트 폭력
전체 상담건수 2,107건 중 애인/과거애인, 소개팅 등 데이트 관계에서 폭력이 발생한 건수는 536건(25.4%)이었고, 피해 성별은 여성이 527명(98.3%), 남성은 9명(1.7%)이었다. <표9>를 통해 연령별 현황을 살펴보면, 20대가 26.3%로 가장 높았고, 30대 16.4%, 40대 8.0%, 50대 4.4% 순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 걸쳐 데이트 폭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9. 데이트 폭력 연령별 현황>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미파악
합계
12
141
88
43
23
2
227
536
2.2
26.3
16.4
8.0
4.3
0.4
42.4
100
<표10>은 데이트 관계에서 발생한 폭력 피해유형을 분석한 것으로 피해자의 79.3%(425건)가 폭언, 욕설, 통제 고립 등 정서적 폭력을 겪었으며, 신체적 폭력도 270건(50.4%)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적 폭력이 207건(38.6%), 지불강요(데이트 비용 청구 등), 갈취 등 경제적 폭력은 70건(13.1%)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데이트폭력이 언어적 · 정서적 · 신체적 · 성적 폭력이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10. 데이트 폭력 피해 유형(중복응답)>
신체적 폭력
성적폭력
정서적폭력
경제적폭력
건수
270
207
425
70
%
50.4
38.6
79.3
13.1
데이트 관계 내 폭력 피해 내용은 폭력유형과 연관되어 심리적 피해가 70.7%로 가장 많이 나왔고, 다음으로는 신체적 피해가 18.5%로 나왔다. 그리고 학교‧직장 등 생활의 어려움이 동반되는 사회적 피해도 신체적 피해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데이트 관계의 특성상 가해자와의 관계유지기간이 길어질수록 관계의 밀도, 즉 상호의존성이 높아지고, 이러한 관계 안에서 복합적인 형태로 발생하는 폭력은 피해자의 일상에 깊이 침투하여 심각한 피해를 남기게 된다.
<표11. 데이트 관계 내 폭력 피해 내용(중복응답)>
신체적 피해¹
심리적 피해²
사회적 피해 ³
건수
99
379
71
비율
18.5
70.7
13.2
¹ 신체적 피해 : 사망, 상해, 질병, 장애, 임신, 유산 등
² 심리적 피해 : 우울감, 무기력, 불안감, 모욕감, 자존감상실, 공포, 두려움 등
³ 사회적 피해 : 대인관계의 어려움 단절, 학교 직장 등 생활의 어려움 중단 등
5. 스토킹
전체 2,107건 중 스토킹 상담은 252건(12.1%)이었다. 스토킹 피해 성별은 여성이 246명(97.6%)이고, 남성은 6명(2.4%)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54명, 30대 39명, 40대 32명, 50대 10명, 10대 7명 순으로 전 연령대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12. 스토킹 피해 성별 및 나이>
성별
13세-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미파악
합계
여
7
54
38
3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