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통계2016년 분노의 게이지: 친밀한 관계에 있는 남성에게 살해당한 여성 통계 분석

2016년 분노의 게이지

친밀한 관계에 있는 남성에게 살해당한 여성 통계 분석

 

 

여성살해의 이유를 묻지 말라는 국가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이 만연한 사회에서 여성들은 매일 같이 살해되고 있으며, 여성들이 경험하는 폭력의 대부분은 매우 친밀한 관계의 상대에 의해 일상적인 공간에서 발생한다.

 

2016년 한국여성의전화 가정폭력·성폭력상담소로 접수된 초기상담 2,107건 중 데이트폭력상담이 25.4%(536)를 차지했으며, 가정폭력상담은 26.7%(562)를 차지했다. <1>을 통해 가정폭력 가해자와의 관계에 따른 상담현황을 살펴보면, 79.6%가 과거 또는 현재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 상담이었다.

 

<1. 2016년 가정폭력 가해자와의 관계에 따른 상담건수>

(단위: (%))

배우자

과거

배우자

친부모

시부모

의양

부모

자녀

형제

자매

4촌이내 혈족

미파악

합계

432

15

60

6

6

11

19

3

6

562

(76.9)

(2.7)

(10.7)

(1.1)

(1.1)

(1.9)

(3.3)

(0.5)

(1.1)

(100)

* 출처 : 한국여성의전화, 2016년 가정폭력·성폭력상담소 상담통계분석

 

<2>의 경찰청 범죄통계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1-2015) 2,039명의 여성이 살해되거나 살인미수로 살아남았고, 이는 약 21시간 30분마다 1명의 여성이 살인범죄의 피해자가 되고 있음을 말한다. 하지만, 국가의 범죄통계는 여성살해범죄가 누구에 의해, 어떠한 상황에서 발생했고, 범죄 수사 및 처리결과는 어떠한지 말해주지 않는다.

 

<2. 살인범죄 여성피해자 수>

(단위: )

연도

 

죄종

피해자

연령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살인

기수

살인

미수

살인

기수

살인

미수

살인

기수

살인

미수

살인

기수

살인

미수

살인

기수

살인

미수

살인

기수

살인

미수 등

6세 이하

7

-

1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