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통계2017년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 상담통계 분석 - 성폭력을 중심으로

2017년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 상담 통계분석

- 성폭력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의전화 본부와 지부의 상담소는 전국 25개소로 2017년 총 상담 건수는 29,037건으로 집계되었다. 본부인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의 전체 상담건수는 전년도에 비해 3.96% 가량(116) 늘어난 3,040건이었다. 본 상담통계는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의 상담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자 하며, 재상담 985건을 제외한 초기상담 2,055건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80%가 여성에 대한 폭력 상담, 피해 유형은 복합적으로 나타나

 

초기상담 2,055건을 가정폭력, 성폭력, 데이트폭력, 스토킹, 성매매, 기타 등의 피해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이중 하나 이상의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는 중복 집계하였다. 성추행, 강간 등 상대의 동의 없는 성적 언행으로 유발된 피해를 포괄하는 성폭력에 관한 상담이 869(29.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족 구성원에게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성적으로 억압·통제하는 행위를 포괄하는 가정폭력에 대한 상담은 총 827(28.1%)으로 그 다음을 차지했고, 데이트·연애를 목적으로 만나거나 그 가능성을 인정하고 만나는 관계에서 일어난 모든 폭력행위를 포괄하는 데이트폭력상담은 13.8%407건이었다. 이어 감시, 미행, 반복적인 연락, 특정 장소에 나타나서 지켜보기 등 상대의 동의 없이 공·사적 생활영역에 접근하여 괴롭히는 행위를 포괄하는 스토킹에 관한 상담은 258(8.8%)으로 나타났다. 19.6%를 차지한 기타 유형으로는 임신/낙태 등 여성의 재생산권, 성적 지향, 직장 내 성차별, 부부갈등, 가족 문제, 중독, 비혼모 관련 상담 등이 있었다.

 

가정폭력 상담 사례 중에서도 성폭력을 함께 경험한 사례는 15.6%(129), 스토킹을 함께 경험한 사례는 5.4%(45)으로 집계되었고, 데이트폭력 상담 사례 중 성폭력이 동반된 경우는 50.6%(206), 스토킹을 함께 경험한 사례는 31%(126)로 나타났다. 2017년 여성인권상담소의 전체 상담 사례의 80%가 가정폭력, 성폭력, 데이트폭력, 스토킹 상담에 집중되어 있었고, 피해자가 경험한 폭력은 하나의 유형에 국한되지 않고 복합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1. 2017년 피해 유형별 상담 건수>

 

가정폭력

성폭력

데이트폭력

스토킹

성매매

기타

합계

건수

827

869

407

258

5

577

-

비율(%)

28.1

29.5

13.8

8.8

0.2

19.6

100

* 중복 응답

가해자가 남성이고 여성이 피해자인 경우가 94.9%, 본질은 불평등한 성별 권력관계

 

초기상담 사례 중 여성이 피해자인 경우는 2,020건이었으며, 그중에서도 가해자가 남성인 사례는 94.9%(1,950)으로 대부분을 차지해 가정폭력, 성폭력, 데이트폭력, 스토킹의 대다수가 남성이 여성에게 가하는 폭력임이 드러난다. 전체 초기상담 2,055건을 피